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백혈병(Leukemia)은 의대생으로서 병태생리, 종류, 진단과 치료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게 중요한 혈액암이다.
1. 백혈병이란?
백혈병은 골수에서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정상 혈액세포의 생성을 방해하는 악성 질환이다. 혈액과 골수 모두를 침범하며, 림프구 계열 또는 골수 계열로 분류된다.
2. 분류 (Classification)
(1) 병의 진행 속도에 따른 분류
구분 | 특징 |
급성 백혈병 (Acute) | 미성숙 세포(Blasts)의 증식, 빠른 진행, 즉각 치료 필요 |
만성 백혈병 (Chronic) | 비교적 성숙한 세포, 서서히 진행, 초기에는 무증상 |
(2) 혈구 계열에 따른 분류
특징 | 특징 |
림프모구성 백혈병 (Lymphoblastic/Lymphocytic) | 림프구 계열, B/T세포 유래 |
골수성 백혈병 (Myelogenous/Myeloid) | 호중구, 단핵구, 적혈구, 혈소판 계열 |
(3) 전체 4가지 주요 유형
약어 | 한글명 | 주요 발생 | 연령특징 |
ALL |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 소아 (최다), 청소년 | 소아암 중 가장 흔함, 예후 좋음 |
AML | 급성 골수성 백혈병 | 성인 | 성인 급성백혈병 중 가장 흔함 |
CLL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 고령 (60세 이상) | 서서히 진행, 무증상 많음 |
CML | 만성 골수성 백혈병 | 중년 (~50세) | Philadelphia 염색체 특징적 |
3. 원인 및 위험 요인
- 유전적 이상: 필라델피아 염색체 (CML), 트랜스로케이션 (ALL)
- 방사선 노출: 고용량 방사선
- 화학물질 노출: 벤젠, 항암제
- 바이러스: HTLV-1 (T세포성 백혈병 관련)
- 다운증후군 등 유전질환
4. 증상
정상 혈구 감소에 따른 증상이 가장 흔하다:
증상 분류 | 주요 증상 |
빈혈 증상 | 피로, 창백, 호흡곤란 |
감염 증상 | 반복적 감염, 발열 (호중구 감소) |
출혈 경향 | 멍, 코피, 잇몸출혈 (혈소판 감소) |
백혈병 세포 침윤 | 림프절종대, 간비비대, CNS 침범, 뼈통증 |
기타 | 체중 감소, 발열, 야간 발한 등 B symptoms |
5. 진단 검사
(1) 말초혈액 검사 (CBC)
- 백혈구 수치↑ or ↓, 빈혈, 혈소판 감소
- Blasts (미성숙 세포) 확인
(2) 골수검사 (Bone marrow biopsy)
- 진단의 gold standard
- Blasts ≥ 20% → 급성 백혈병
(3) 면역표현형검사 (Flow cytometry)
- 백혈병 세포의 계열 확인 (B-ALL vs T-ALL 등)
(4) 염색체 검사 (Cytogenetics)
- CML → t(9;22), BCR-ABL (Philadelphia chromosome)
(5) 분자유전학 (PCR, FISH)
-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예: FLT3, NPM1 in AML)
6. 치료 (백혈병 유형별)
(1)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ALL)
- 유도 관해 요법 → 공고 요법 → 유지 요법
- CNS 예방 치료 (Intrathecal methotrexate 등)
- 고위험군은 조혈모세포 이식
(2)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 Induction chemo: Cytarabine + Anthracycline ("7+3")
- 젊고 고위험군은 조혈모세포 이식 고려
(3)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 초기 무증상: 경과 관찰
- 진행 시: 항CD20 항체(Rituximab), BTK억제제(Ibrutinib)
(4)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 1차 치료: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TKI) – Imatinib
- BCR-ABL 유전자 지속 모니터링 필요
7. 예후 (Prognosis)
유형 | 5년 생존율 |
ALL (소아) | 85~90% |
AML | 30~50% (연령, 유전자에 따라 다름) |
CLL | 80% 이상 |
CML | 90% 이상 (TKI 치료 시) |
예후는 나이, 백혈구 수, 유전자 이상, 치료 반응 등에 따라 달라진다.
>> 결론
분류 | 급성 림프성 | 급성 골수성 | 만성 림프성 | 만성 골수성 |
주 발생 연령 | 소아 | 성인 | 고령 | 중년 |
주요 유전자 | t(12;21), t(9;22) | FLT3, NPM1 | 없음 | t(9;22), BCR-ABL |
예후 | 좋음 | 중간~나쁨 | 좋음 | 매우 좋음 (TKI 치료 시) |
728x90
반응형
'※ 의료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림프종(Lymphoma)에 대해 알아보기" (43) | 2025.04.14 |
---|---|
"교모세포종에 대해 알아보기" (22) | 2025.04.11 |
"갑상선암에 대해 알아보기" (28) | 2025.04.09 |
"유방암에 대해 알아보기" (16) | 2025.03.31 |
"자궁경부암에 대해 알아보기" (14)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