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료_정보

"마비성 장폐색에 대해 알아보기"

by 홍길동젼 2025. 7. 14.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마비성 장폐색 (Paralytic Ileus, 麻痺性腸閉塞)**은 기계적인 폐쇄 없이, 장운동(연동운동)의 마비로 인해 장 내용물의 이동이 중단된 상태를 말합니다. 수술 후, 약물, 감염, 전해질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기계적 장폐색(Mechanical obstruction)**과는 병태생리, 진단, 치료가 다릅니다.

 

 

1. 정의 (Definition)

마비성 장폐색은 장벽이나 내강 내의 물리적 장애 없이도, 자율신경계 또는 장 근육의 기능장애로 장 내용물이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다른 말로는 **일루스(Ileus)**라고도 하며, 특히 **수술 후 일루스(postoperative ileus)**가 흔하게 나타납니다.

 

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병태 기전 설명
장 신경 반사 억제 수술, 외상, 염증 자극 → 교감신경 항진 및 장근 긴장 감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등이 장 연동운동 저하
전해질 이상 저칼륨혈증, 고칼슘혈증 → 장 수축력 저하
약물 작용 마약성 진통제, 항콜린제, 항우울제 등 → 장 신경 억제
복막 자극 장염, 복막염 → 장 전체 연동운동 마비

 

3. 원인 (Etiology)

3.1. 수술 후 (가장 흔함)

  • 개복수술(장, 복부) 후 대부분 수일간 일시적 장마비
  • 대장 수술 > 소장 수술 시 더 자주 발생

3.2. 내과적 질환/상태

  • 복막염, 패혈증, 급성 췌장염
  • 저칼륨혈증, 고칼슘혈증, 요독증

3.3. 약물

  • Opioids (마약성 진통제)
  • 항콜린제, 항정신병제, 칼슘통로 차단제 등

3.4. 기타

  • 척수 손상, 뇌졸중, 당뇨성 자율신경병증

 

4. 임상 증상 (Clinical Features)

증상  설명
복부 팽만 가장 흔한 증상
복통 경미하거나 경련성, 지속적 통증은 드묾
구역/구토 위장관 마비 → 위 내용물 역류
변비/배출 없음 대변 및 가스 정체
복부 장음 감소 ‘조용한 복부’가 특징 (기계적 폐색은 고음 활발함)

 

5. 진단 (Diagnosis)

5.1. 병력 및 이학적 검사

  • 최근 수술 여부, 마약성 진통제 복용 여부
  • 복부 청진: 장음 거의 없음
  • 직장 수지 검사

5.2. 영상 검사

검사  소견
복부 X-ray 다수의 확장된 공기음영 장루프, 수평적 액체-가스 면
복부 CT 기계적 폐색 여부 감별에 가장 정확, 전장(全腸) 확장, 폐색 지점 없음

 

  • 기계적 폐색과 달리 transition point가 없고, 장벽 비후나 혈류 차단 없음

 

6.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감별질환 주요 차이점
기계적 장폐색 명확한 폐색 지점, 장음 증가, 경련성 복통
거짓장폐색(Pseudo-obstruction) 마비성 장폐색과 유사하나 주로 만성, 항정신병약 또는 대사 이상 관련
급성 장허혈 심한 복통, 혈변 가능, CT에서 혈류 이상 확인
중증 변비 대장에 대변 정체, 좌측하복부 압통 동반 가능

 

7. 치료 (Treatment)

7.1. 보존적 치료 (기본 접근)

치료  내용
금식 (NPO) 장기능 회복까지 모든 경구 섭취 중단
비위관 삽입 (NG tube) 위장 팽만, 구토 시 감압 목적
정맥 수액공급 탈수, 전해질 이상 교정
전해질 보정 특히 K+, Mg2+ 중요 (저칼륨혈증 → 장마비 유발)

7.2. 약물 치료

약물  용도
Alvimopan (μ-opioid receptor antagonist) 수술 후 ileus 단축 (특히 미국에서 사용)
네오스티그민 (Neostigmine) 중증 마비성 장폐색 시 사용 가능 (단, 부작용 주의)
프로키네틱제 메토클로프라미드, 에리트로마이신 등 보조적으로 사용

7.3. 수술적 치료

  • 보존적 치료 실패 시
  • 장 괴사, 천공, 심한 복막염 등 발생 시 응급 수술

 

8. 예후 (Prognosis)

상황  경과
수술 후 일루스 대부분 3~5일 내 회복
전해질 교정, 약물 조절 경증은 호전 빠름
만성 또는 이차적 원인 방치 장기 입원, 장관 손상, 폐색 반복 위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