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뮤코지질증 2형(Mucolipidosis Type II)은 희귀한 유전성 대사질환으로, **I-세포병(I-cell disease)**이라고도 불립니다. 다음은 이 질환에 대한 전문적이고 상세한 설명입니다.
1. 질환 개요
항목 | 설명 |
정식명칭 | Mucolipidosis Type II (ML II) |
별칭 | I-cell disease (I세포병) |
유전방식 | 상염색체 열성 유전 (Autosomal Recessive) |
원인유전자 | GNPTAB 유전자의 돌연변이 (염색체 12q23.3) |
발병시기 | 영아기 (출생 직후 또는 생후 수개월 이내) |
질환군 | 라이소좀 저장질환 (Lysosomal storage disorder) |
2. 병태생리
GNPTAB 유전자는 라이소좀 효소에 만노스-6-인산(mannose-6-phosphate, M6P) 신호를 부착하는 GlcNAc-1-phosphotransferase 효소를 만드는 데 필요합니다.
- 이 신호는 효소가 라이소좀(lysosome) 안으로 이동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ML II에서는 이 효소가 결핍되어, 라이소좀 효소들이 세포 외부로 분비되어버림.
- 결과적으로 라이소좀 내부에 대사산물이 쌓이며, 세포 기능이 손상됨.
- 이로 인해 형성된 세포들을 **"I-세포" (inclusion cell)**이라고 부릅니다.
3. 유전학
- 상염색체 열성으로 부모 모두 보인자인 경우 자녀에게 25% 확률로 발병.
- GNPTAB 돌연변이는 ML II와 ML III (더 경미한 형태) 양쪽 모두를 일으킬 수 있음.
4. 임상증상
구분 | 주요 증상 |
성장 | 출생 시부터 성장 지연, 골격 이상 (dysostosis multiplex) |
얼굴 | 거친 얼굴 특징(coarse facial features), 탁한 각막 |
근육/뼈 | 근긴장저하(hypotonia), 관절 구축, 짧은 사지 |
치아 | 치아 발육 이상, 치아 조기 맹출 |
심장 | 심근병증(cardiomyopathy), 판막 비후 |
호흡기 | 상기도 감염 잦음, 기도 협착 |
신경 | 지능저하(정신지체), 발달 지연 |
혈액검사 | 라이소좀 효소 수치 증가 (혈청 내), 섬유아세포 내 포함체 확인 |
5. 진단
임상적 특징 + 생화학적 검사 + 유전자 검사로 확진
(1) 생화학적 진단
- 혈청 내 라이소좀 효소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음
- 섬유아세포 내 I-cell 포함체 확인 (전자현미경)
(2) 분자유전학 검사
- GNPTAB 유전자 돌연변이 분석
(3) 방사선학적 진단
- 골격 이상: 흉추 앞쪽 짧아짐, 대퇴골 형성 이상 등 (dysostosis multiplex)
6. 치료 및 관리
근본적 치료는 아직 없음 (대증 치료 중심)
치료 방법 | 설명 |
호흡관리 | 기도 협착/폐렴 예방 및 치료 |
심장관리 | 심근병증, 판막 질환 관리 |
재활치료 |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으로 운동 기능 유지 |
수술 | 관절 구축, 척추 협착 등 경우 필요 시 시행 |
유전자 치료 | 아직 연구 단계 (향후 치료 가능성 있음) |
7. 예후
- 매우 예후 불량
- 대부분의 환아는 유아기~조기 소아기에 사망 (심폐 합병증 등)
- ML III형은 경증으로, 수명 연장 가능성이 있음
8. 감별진단
질환 | 구분점 |
헐러증후군 (MPS I) | MPS는 소변에서 당단백 검출, ML II는 안됨 |
GM1 갱글리오시드증 | 신경학적 퇴행 중심, I-cell은 다기관 침범 |
골형성부전증 | 성장지연 있지만, 대사 문제 없음 |
9. 유전 상담
- 보인자 부모에서 자녀 25% 발병 가능
- 산전 진단 가능 (융모막 검사, 양수 검사)
- 가족력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 권장
728x90
반응형
'※ 의료_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푸스(Lupus)에 대해 알아보기" (54) | 2025.06.23 |
---|---|
"자가 습진화에 대해 알아보기" (99) | 2025.06.17 |
"함구증에 대해 알아보기" (40) | 2025.06.14 |
"안검근이상증(Myasthenia Gravis,MG)에 대해 알아보기" (24) | 2025.05.28 |
"체리혈관종(Cherry angioma)에 대해 알아보기" (18)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