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1. 속담 원뜻
**"하늘의 별 따기"**는
- 하늘에 수없이 떠 있는 별을 손으로 직접 따는 것처럼
-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거나, 아주 어려운 일을 한다는 뜻입니다.
→ 별은 육안으로 볼 수 있지만, 너무 멀리 있어서 인간의 힘으로는 닿을 수 없습니다.
→ 이런 "닿을 수 없는 것"을 직접 따려고 한다는 비유를 통해 매우 어려운 일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2. 사용 상황 예시
- 극단적으로 어려운 목표를 잡았을 때:
➔ "서울대 수석 합격은 내게 하늘의 별 따기야." - 경쟁이 너무 심해 이길 확률이 거의 없을 때:
➔ "로또 1등 당첨은 하늘의 별 따기야." - 아주 희귀한 기회를 잡으려 할 때:
➔ "저런 큰 회사에 입사하는 건 하늘의 별 따기야." - 남들은 쉽게 해도, 개인적으로 절망적인 상황일 때:
➔ "건강을 회복하는 게 나한테는 하늘의 별 따기야."
3. 감정과 분위기
- 절망과 포기: "이건 아무리 해도 안 될 것 같아."
- 도전과 꿈: "불가능 같지만, 그래도 도전해볼래."
- 현실 직시: "지금 내 실력으로는 무리야."
(※ '하늘의 별 따기'가 꼭 포기하라는 뜻은 아닙니다.
"어려운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도전 정신을 잃지 않으려는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쉽게 풀어주는 방법 ✏️
설명 예시:
➔ "얘들아, 하늘에 있는 별은 우리 눈에는 보이지만, 진짜 손으로 잡을 수 있을까?"
"못 잡지! 아무리 키가 크고 아무리 점프해도 닿을 수가 없어."
"이처럼 너무너무 힘들고 거의 불가능한 일을 할 때, '하늘의 별 따기'라고 말하는 거야."
쉽게 풀어주는 비유:
- "네가 사탕 하나를 뽑으려는데 1만 개 중에 딱 1개만 당첨인 거야! 그 정도로 어려운 걸 말해!"
>> 요약
구분 | 내용 |
뜻 | 매우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한 일을 비유 |
핵심 비유 | 하늘에 있는 별은 볼 수 있어도 손으로 딸 수 없음 |
사용 상황 | 경쟁, 시험, 꿈, 희망 등 |
감정 | 절망, 도전, 현실 인정 |
728x90
반응형
'※ 교육_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담: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8) | 2025.04.29 |
---|---|
"속담:바늘 가는 데 실 간다" (23) | 2025.04.18 |
"속담:선무당이 사람 잡는다" (8) | 2025.04.15 |
"속담:도토리 키 재기" (18) | 2025.04.14 |
"속담:동에 번쩍, 서에 번쩍" (32)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