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 기념일
- 매년 5월 18일
- 대한민국의 법정기념일 (1997년 제정)
- 정식 명칭: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1. 배경 및 역사적 맥락
1.1. 발생 시기
- 1980년 5월 18일 ~ 5월 27일
1.2. 시대적 배경
- 박정희 정권 붕괴 후 유신 체제 종식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암살)
- 전두환 신군부의 권력 장악 시도
- 비상계엄 전국 확대, 국회 해산, 언론 통제, 대학 휴교령 발동
2. 운동의 전개
2.1. 주요 지역
- 광주광역시 (당시 전라남도 광주시)
2.2. 전개 과정 요약
날짜 | 사건 |
5월 18일 | 전남대 휴교령 → 학생 시위 → 계엄군과 충돌 |
5월 19~20일 | 시위 확대, 계엄군의 과도한 무력 진압 |
5월 21일 | 시민군 조직, 계엄군에 맞서 무장 저항 |
5월 22~26일 | 광주 통제권 시민군이 장악 → 자치적 평화 유지 |
5월 27일 | 계엄군의 전면 진압 작전, 새벽에 도청 점령 |
3. 희생과 피해
- 공식 사망자: 200여 명
- 부상자, 행방불명자, 고문 피해자 다수
- 군부는 당시 이를 폭동으로 왜곡 발표
4. 운동의 의미와 의의
4.1. 민주주의 실현의 시발점
- 신군부의 불법 집권에 대한 국민 저항
-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결정적 전환점
4.2. 시민 참여의 상징
- 학생뿐 아니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 물자 나눔, 헌혈, 질서 있는 자치 등 시민 공동체 정신 발휘
4.3. 인권과 진실 투쟁의 상징
- 국가 폭력, 언론 통제에 맞서 진실 규명을 위한 노력 지속
- 이후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화 연대 기반 형성
5. 진상 규명과 역사적 복권
5.1. 1990년대 이후 주요 전개
연도 | 내용 |
1995년 | 특별법 제정, 5·18 관련자 수사 착수 |
1996년 | 전두환·노태우 구속, 1997년 유죄 확정 |
1997년 |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법정기념일 지정 |
2002년 | 국립 5·18 민주묘지 조성 |
2018년 | 헌법 전문에 5·18 포함 추진 (개헌안 초안 반영) |
2020년 | 5·18 관련 왜곡·비방 처벌법 제정 추진 |
6. 현재의 기념과 교육
6.1. 국립 5·18 민주묘지
- 광주 북구 운정동 위치
- 매년 국가 주관 공식 기념식 개최
6.2. 교육 및 문화적 기념
- 다큐멘터리, 영화, 음악으로 기억 (예: 영화 화려한 휴가)
- 교과서 수록, 학생 대상 체험학습 및 답사
7. 국제적 인식
- 5·18은 국제적 민주운동의 모범 사례로 평가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록물): 2011년
-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로 명명
- 시민의 자발성과 인권 투쟁이 문서화된 사례로 중요성 인정
>> 결론 요약
- 5·18 민주화운동은 신군부에 저항한 광주 시민들의 자유, 인권,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이었다.
- 많은 희생과 고통을 겪었지만,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의 기초가 되었으며 기억하고 기려야 할 역사적 사건이다.
- 단순한 지역 사건이 아닌 전 국민적, 인류 보편적 가치인 정의와 자유를 위한 운동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