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by 홍길동젼 2025. 5. 18.
728x90
반응형
반응형

📅 기념일

  • 매년 5월 18일
  • 대한민국의 법정기념일 (1997년 제정)
  • 정식 명칭: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1. 배경 및 역사적 맥락

1.1. 발생 시기

  • 1980년 5월 18일 ~ 5월 27일

1.2. 시대적 배경

  • 박정희 정권 붕괴 후 유신 체제 종식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암살)
  • 전두환 신군부의 권력 장악 시도
  • 비상계엄 전국 확대, 국회 해산, 언론 통제, 대학 휴교령 발동

2. 운동의 전개

2.1. 주요 지역

  • 광주광역시 (당시 전라남도 광주시)

2.2. 전개 과정 요약

날짜  사건
5월 18일 전남대 휴교령 → 학생 시위 → 계엄군과 충돌
5월 19~20일 시위 확대, 계엄군의 과도한 무력 진압
5월 21일 시민군 조직, 계엄군에 맞서 무장 저항
5월 22~26일 광주 통제권 시민군이 장악 → 자치적 평화 유지
5월 27일 계엄군의 전면 진압 작전, 새벽에 도청 점령

 

3. 희생과 피해

  • 공식 사망자: 200여 명
  • 부상자, 행방불명자, 고문 피해자 다수
  • 군부는 당시 이를 폭동으로 왜곡 발표

 

4. 운동의 의미와 의의

4.1. 민주주의 실현의 시발점

  • 신군부의 불법 집권에 대한 국민 저항
  •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결정적 전환점

4.2. 시민 참여의 상징

  • 학생뿐 아니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
  • 물자 나눔, 헌혈, 질서 있는 자치 등 시민 공동체 정신 발휘

4.3. 인권과 진실 투쟁의 상징

  • 국가 폭력, 언론 통제에 맞서 진실 규명을 위한 노력 지속
  • 이후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지는 민주화 연대 기반 형성

 

5. 진상 규명과 역사적 복권

5.1. 1990년대 이후 주요 전개

연도  내용
1995년 특별법 제정, 5·18 관련자 수사 착수
1996년 전두환·노태우 구속, 1997년 유죄 확정
1997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 법정기념일 지정
2002년 국립 5·18 민주묘지 조성
2018년 헌법 전문에 5·18 포함 추진 (개헌안 초안 반영)
2020년 5·18 관련 왜곡·비방 처벌법 제정 추진

 

6. 현재의 기념과 교육

6.1. 국립 5·18 민주묘지

  • 광주 북구 운정동 위치
  • 매년 국가 주관 공식 기념식 개최

6.2. 교육 및 문화적 기념

  • 다큐멘터리, 영화, 음악으로 기억 (예: 영화 화려한 휴가)
  • 교과서 수록, 학생 대상 체험학습 및 답사

 

7. 국제적 인식

  • 5·18은 국제적 민주운동의 모범 사례로 평가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록물): 2011년
    •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로 명명
    • 시민의 자발성과 인권 투쟁이 문서화된 사례로 중요성 인정

 

>> 결론 요약

  • 5·18 민주화운동은 신군부에 저항한 광주 시민들의 자유, 인권,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이었다.
  • 많은 희생과 고통을 겪었지만,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의 기초가 되었으며 기억하고 기려야 할 역사적 사건이다.
  • 단순한 지역 사건이 아닌 전 국민적, 인류 보편적 가치인 정의와 자유를 위한 운동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