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나라관련

"에리트레아에 대해 알아보기"

by 홍길동젼 2025. 3. 8.
728x90
반응형
반응형
728x90

에리트레아(Eritrea) – 동아프리카의 미스터리한 국가

에리트레아는 아프리카의 북한이라는 별칭을 가진 나라로, 폐쇄적 정치 체제와 군사 중심 사회로 유명해. 하지만 고대 문명의 흔적, 아름다운 홍해 해안선, 독특한 식민지 건축물 등 흥미로운 요소도 많아. 아래에서 지리, 역사,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아스마라의 이탈리아 식민지 건축과 거리 풍경

 

1. 지리 & 기후

  • 위치: 동아프리카, 홍해(Red Sea) 연안에 위치 (수단, 에티오피아, 지부티와 국경 접함)
  • 면적: 약 117,600㎢ (대한민국의 약 1.2배)
  • 인구: 약 370만 명 (2024년 기준)
  • 수도: 아스마라(Asmara)
  • 공식 언어: 없음 (아랍어, 티그리냐어, 영어 등이 사용됨)
  • 종교: 기독교(정교회, 가톨릭, 개신교), 이슬람교

📌 기후

  • 해안 지역(홍해 연안): 고온 건조 (여름 기온 50℃ 이상)
  • 내륙 고원 지역: 온화한 기후 (수도 아스마라는 연평균 16~20℃)
  • 서부 저지대: 반건조 기후, 사막성 기후

 

2. 역사적 배경

2.1. 고대 & 식민 지배

  • 고대 **아크숨 왕국(Aksum Kingdom)**의 일부였으며, 해상 무역 중심지 역할
  • 16세기: 오스만 제국 지배
  • 19세기 말: 이탈리아 식민지(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로 편입
    • 수도 아스마라는 이탈리아 건축 양식이 남아 있는 **"아프리카의 로마"**로 불림

2.2. 에티오피아와의 갈등

  • 1941년: 영국이 점령 (제2차 세계대전 후)
  • 1952년: 유엔(UN)이 에티오피아와 연방 형성 결정
  • 1962년: 에티오피아가 에리트레아를 강제 합병 → 독립운동 시작
  • 1991년: 30년간의 독립전쟁 끝에 해방
  • 1993년: 국민투표 후 공식 독립

 

3. 정치 & 정부

  • 정부 형태: 일당 독재, 권위주의 국가
  • 대통령: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Isaias Afwerki, 1993년부터 현재까지 집권)
  • 의회: 존재하지만 2002년 이후 활동 중단
  • 언론 자유: 세계 최하위 수준 (북한보다 낮다는 평가도 있음)
  • 군 복무: 강제 징집 (사실상 무기한 복무)

📌 특이점

  • 1993년 독립 이후 한 번도 선거가 열린 적 없음
  • 야당 불허, 언론 통제, 해외여행 제한
  • 강제 군 복무(무기한), 젊은이들의 대규모 탈출(난민 증가)
  • 국제 사회의 제재 대상(인권 문제, 군사 개입 등)

 

4. 경제 & 산업

  • 주요 산업: 농업, 어업, 광업(금, 구리, 아연), 서비스업
  • 화폐: 나크파(Nakfa, ERN)
  • GDP: 약 26억 달러 (2024년 기준, 세계 최빈국 중 하나)
  • 주요 교역국: 중국, UAE, 카타르, 이탈리아

📌 경제적 특징

  • 국영 경제 체제: 정부가 모든 경제 활동을 통제
  • 외화 부족: 강력한 외환 통제, 해외 송금 제한
  • 농업 비중 높음: 하지만 가뭄과 토양 문제로 자급자족 어려움
  • 자원 개발: 금광 및 광물자원 풍부하지만 투자 부족

 

5. 문화 & 사회

 

  • 언어: 공식 언어 없음 (티그리냐어, 아랍어, 영어, 이탈리아어 사용)
  • 종교: 기독교(에리트레아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 공존
  • 음식:
    • 인제라(Injera): 신맛이 나는 발효된 빵
    • 질질(Tsazbhi): 매운 고기 스튜
    • 슈와(Shiro): 병아리콩을 베이스로 한 요리
  • 건축:
    • 아스마라에는 이탈리아 식민지 시대 건축물이 남아 있음
    •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아르데코(Art Deco) 건축 양식을 유지한 도시
  • 스포츠:
    • 마라톤 강국 (고지대 훈련 덕분에 장거리 육상 선수들이 우수함)
    • 사이클링도 인기

📌 사회 문제

  • 언론 자유 제한: 언론 감시 수준 세계 최하위
  • 강제 군 복무: 젊은이들이 나라를 탈출하는 주요 원인
  • 탈북자 같은 '탈에리트레아인' 증가: 난민 문제 심각

 

6. 에리트레아의 미래 & 도전 과제

  • 정치 개혁: 독재 체제에서 민주화 가능할까?
  • 경제 성장: 국영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 전환 가능할까?
  • 국제 관계 개선: 제재 해제 & 외국 투자 유치
  • 난민 문제 해결: 젊은이들이 떠나는 현상을 막을 방법은?

 

7. 에리트레아를 이해하는 키워드

 

  • "아프리카의 북한" – 폐쇄적이고 군사 중심 사회
  • 이탈리아 식민지 건축과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모습
  • 장거리 육상 선수와 사이클 강국
  • 아름다운 홍해 해안선 – 관광 개발 가능성 있음
  • 젊은 인구 탈출 & 인권 문제로 국제 사회의 우려 대상

 

>> 결론

에리트레아는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폐쇄적이고 독특한 나라다.
아름다운 홍해 연안과 아스마라의 유럽풍 건축이 있지만, 강제 징집, 인권 탄압, 경제난 등 심각한 문제도 많다.
만약 정치 개혁과 경제 개방이 이루어진다면, 홍해 연안을 활용한 관광과 무역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나라다.
하지만 현재로선 폐쇄적 정치 체제 유지, 국제적 고립, 난민 증가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