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1. 역사 및 정치
1.1. 고대 및 식민지 시대
- 고대 무역 중심지: 모잠비크는 인도양 해상 무역로의 핵심 지역으로, 아랍, 페르시아, 인도 상인들이 10세기부터 교류.
- 포르투갈 식민지(1498~1975):
- 1498년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가 도착한 이후, 포르투갈이 점진적으로 영향력 확대.
- 1895년 영국-포르투갈 협정으로 국경 확정, 포르투갈이 완전히 지배.
- 노동력 착취(광산, 농업), 기독교 전파, 토착민 차별 정책 시행.
1.2. 독립과 내전
- 독립(1975년 6월 25일): FRELIMO(모잠비크 해방전선)의 독립전쟁(1964~1974) 승리.
- 사회주의 체제 도입: 독립 후 FRELIMO 정부가 사회주의 정책 시행 → 공업 국유화, 교육·의료 개혁.
- 내전(1977~1992): 반정부 게릴라 RENAMO(모잠비크 국가저항운동)와의 전쟁.
- 1992년 평화협정: 유엔 개입, 다당제 민주주의 도입.
1.3. 현대 정치 상황
- FRELIMO(여당) vs RENAMO(야당):
- FRELIMO는 1975년 이후 계속 집권 중(현 대통령: 필리프 뉴시).
- RENAMO는 내전 후 주요 야당이 되었지만 정치적 갈등 지속.
- 부패 문제: 국가 부채 스캔들(2016년), 천연가스 관련 불투명 계약 등.
- 테러 위협: 북부 카보델가도(Cabo Delgado) 지역에서 IS 연계 무장단체 활동 중.
2. 경제 및 산업
2.1. GDP 및 경제구조
- GDP(2023년 기준): 약 1,800억 달러(구매력 기준).
- 산업 구조: 농업(25%), 광업(30%), 서비스(45%).
2.2. 주요 산업
천연자원 및 에너지
- 천연가스:
- 세계 최대급 루부마(LNG) 가스전 보유.
- 프랑스 TotalEnergies, 이탈리아 Eni, 미국 ExxonMobil 등이 대규모 투자.
- 북부 테러로 인해 프로젝트 일부 중단.
- 광물자원:
- 석탄(테테 지역), 티타늄, 희토류, 금, 보크사이트, 흑연.
- 중국 및 인도 기업들이 주요 투자자.
농업 및 어업
- 농업: 주요 수출품 → 카슈넛, 사탕수수, 면화, 담배, 바나나.
- 수산업: 새우 및 해산물 수출(주요 대상국: EU, 중국, 일본).
제조업 및 서비스
- 제조업: 알루미늄 정련(모잠비크 최대 기업 Mozal), 시멘트, 의류.
- 관광업: 해변 관광, 사파리(고롱고사 국립공원, 반기울루 국립공원).
3. 지리 및 환경
- 위치: 남부 아프리카, 인도양 연안(해안선 2,500km).
- 기후: 열대 몬순 기후(고온다습).
- 자연재해: 사이클론, 홍수, 가뭄 피해 빈번(2019년 사이클론 이다이로 큰 피해).
4. 사회 및 문화
4.1. 인구 및 언어
- 인구: 약 3,300만 명.
- 공용어: 포르투갈어.
- 주요 부족 및 언어:
- 마쿠아족(북부) – 마쿠아어.
- 쇼나족(중부) – 쇼나어.
- 츠와나족(남부) – 츠와나어.
4.2. 전통문화
- 음악: 마랑가(Maranga), 팀빌라(Timbila) 전통 악기.
- 춤: 음바카(Mbaka) 전통 춤.
- 요리:
- 페리페리 치킨(매운 양념 닭고기).
- 마푸투 새우(그릴 새우 요리).
5. 인프라 및 교통
5.1. 주요 도시
- 마푸투(Maputo): 수도, 경제 중심지.
- 베이라(Beira): 주요 항구 도시, 물류 중심.
- 나카라(Nacala): 대형 항구 및 공업 지역.
5.2. 교통 인프라
- 도로: 남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와 연결된 주요 도로망 존재.
- 철도: 탄자니아, 짐바브웨, 말라위와 연결.
- 항만: 마푸투, 베이라, 나카라 항구가 물류 거점.
6. 안보 및 외교
6.1. 국내 안보
- 북부 카보델가도 테러(2017~현재):
-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IS 모잠비크 지부) 활동 증가.
- 루부마 가스전 개발 위협.
- SADC 및 르완다군 파병으로 진압 중.
6.2. 외교 관계
- 중국: 인프라, 채굴권 투자(일대일로 프로젝트).
- 인도: 천연가스 및 농업 협력.
- 남아프리카공화국: 무역 및 노동력 이동 협력.
- 포르투갈: 역사적 유대, 경제 협력 유지.
>> 결론: 기회 vs 리스크
- 모잠비크는 천연가스, 광물자원, 농업, 관광 분야에서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음.
- 그러나 테러, 부패, 인프라 부족, 정치적 불안 등의 리스크를 고려해야 함.
- 외국인 투자 시 리스크 관리(정치·안보)와 장기적 개발 전략이 필수적.
- 단기적 불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
728x90
반응형
'※ 세계나라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생산국, 보츠와나" (14) | 2025.02.19 |
---|---|
"베냉(Benin): 서아프리카의 숨은 보석, 역사와 문화의 만남" (14) | 2025.02.19 |
"철광석과 어업의 나라, 모리타니 경제를 분석하다" (26) | 2025.02.14 |
“에메랄드빛 바다와 역사, 문화가 어우러진 지상낙원” (14) | 2025.02.13 |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나라, 여행과 투자 모두 매력적인 모로코! " (20) | 2025.02.13 |